<김끄끄의 영화 펼쳐보기> 지브리 최연소 감독의 신작, 지브리 그 이상을 보여주다
ⓒ아트하우스
애니메이션 영화 <메리와 마녀의 꽃>에서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향기가 강하게 난다. 빨간 머리색에 호기심이 많으며 통통 튀는 성격을 지닌 주인공, 다양한 색감으로 구성된 마법학교, 평온하면서도 상쾌할 것 같은 마을 배경까지.
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. 이 영화의 연출과 각본을 맡은 요네바야시 히로마사는 스튜디오 지브리 출신이다. 가장 유능한 애니메이터로 꼽혔던 그는 <마루 밑 아리에티>(2010)를 연출하며 스튜디오 지브리 최연소 감독에 이름을 올렸다. 이후 자신의 두 번째 애니메이션 <추억의 마니>(2014)를 통해 지브리 처음으로 미야자키 하야오의 손을 거치지 않은 작품을 내놓았다.
섬세하고 익숙한, 21세기 판 <마녀 배달부 키키>
<메리와 마녀의 꽃>은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이 2014년 말 스튜디오 지브리를 퇴사한 뒤 만든 첫 작품이다. 같은 지브리 출신의 니시무라 요시아키 프로듀서와 함께 2015년 설립한 스튜디오 포녹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. 포녹에는 지브리를 계승하면서도 애니메이션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겠다는 각오가 담겨 있다(포녹의 직원 80%는 지브리 출신이다). <가구야 공주 이야기>(2013)의 사카구치 리코가 각본을 쓰고 <추억의 마니>의 무라마츠 타카츠구가 음악감독을 맡은 점도 눈여겨볼 일이다.
이 영화에서 또 인상적인 점은 섬세한 배경이다. 진짜처럼 보이는 숲이나 여러 식물, 여러 형태로 그려지는 빛의 이미지 등이 눈을 사로잡는다. CG보다는 아날로그, 즉 수작업의 힘을 믿는 니시무라 프로듀서의 제안으로 드왕고(Dwango), 주식회사 색상, 스튜디오 포녹 등 세 회사가 출자해 2015년 배경 미술 스튜디오 데호갤러리를 설립했다. 지브리 애니메이션 등 극장용 영화에서 배경 제작 및 예술 감독을 맡아 온 11명의 화가가 뭉쳤다.
<메리와 마녀의 꽃>의 내용이 아주 새롭지는 않다. 보다 보면 지브리의 역대 여러 작품들이 머를 스친다. 그중에서 마녀를 주인공으로 한 <마녀 배달부 키키>(1989)가 가장 많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. <메리와 마녀의 꽃> 주인공 메리가 빗자루를 타고 다니거나 '사역마'인 고양이가 등장하는 것은 낯설지 않다. <추억의 마니>에서 정적인 캐릭터와 배경을 묘사했던 요네바야시 감독은 "새 작품에선 동적인 것을 그리고 싶었다"고 했다. 그는 니시무라 프로듀서와 이야기를 나눈 끝에 21세기의 <마녀 배달부 키키>를 만들기로 결심했다. 지금 세대를 향한 새로운 마녀 영화를 지향하자는 것이다.
마법세계에서 보이는 과학... 메리가 던지는 메시지
메리 스튜어트의 소설 <작은 빗자루>를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주인공 메리의 내적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 성격은 활발하지만 실수투성이에 "내 인생에 좋은 일은 없을 거야"라며 자신감이 없던 11살 메리는 어느 날 우연히 숲에 들어갔다가 7년에 한 번 피운다는 꽃 '야간비행'을 발견하고 마법을 얻는다. 빗자루를 타고 건너간 마법학교에서는 신기한 마법을 부린 덕에 교장과 과학자의 환대를 받는다. "천재들만 가질 수 있는 머리색", "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인재"라는 말을 듣는다.
겉모습으로 인정받은 메리의 진짜 성장은 늘 그렇듯 위기 속에서 이뤄진다. 아이러니하게도 마법 세계에서 마법이 아닌 인간 스스로의 힘을 발휘했을 때 실마리를 찾는다. 지브리가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메시지도 담고 있다. 기괴하게 설치된 기계가 무너지고 자연이 샘솟는 모습과 "수많은 실패로 과학과 마법이 완성"이라고 말하는 과학자에게서 말이다. 영화는 오는 12월 국내 개봉 예정.
*이 글은 <오마이뉴스>에도 송고됐습니다. <오마이뉴스>는 중복 송고를 허락하고 있습니다.